평창 올림픽: 북한 응원단의 '가면' 논란

북한 응원단은 10일 남북 단일팀과 스위스의 여자 아이스하키 경기에서 가면을 사용한 응원을 펼쳤다

사진 출처, Getty Images

사진 설명,

북한 응원단은 10일 남북 단일팀과 스위스의 여자 아이스하키 경기에서 가면을 사용한 응원을 펼쳤다

북한 응원단이 펼친 '가면' 응원이 논란이 됐다.

지난 10일 열린 남북 단일팀의 아이스하키 경기에서 북한 응원단은 붉은색 단복과 하얀 모자를 맞춰 입고 응원을 펼쳤다.

문제가 된 것은 한 남성의 얼굴이 그려진 가면을 들고 응원을 펼치는 장면이었다. 일부 언론이 이를 두고 가면의 인물이 북한의 김일성 전 국가주석이라는 해석을 내놓았고, 관련 기사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며 논란이 불거졌다.

자유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11일 논평에서 "김일성 가면에 대해, 정부는 당장 이 기괴한 응원이 이뤄지게 된 경위를 밝혀라"며 비판했다.

또 "북한에 사과를 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김빈 디지털 대변인은 트위터에 '속지마세요, 가짜뉴스입니다'라는 도장이 찍힌 사진을 올리며 가짜 뉴스에 대한 책임과 처벌규정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잘못된 추정'

앞서 통일부는 '김일성 가면'이라고 보는 것은 "잘못된 추정"이라며, "북측 관계자에 확인한 결과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논란이 일자 처음 '김일성 가면' 보도를 한 언론사는 해당 기사를 삭제하고, "해당 가면 사진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다"며 사과문을 올렸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올림픽 경기에서 정치, 민족, 종교적인 선전을 금하고 있다. 만약 북한 응원단이 특정 인물을 상징하는 응원을 했다면 징계 사유가 될 수 있다.

북한 전문가들은 이날 응원단이 사용한 가면은 특정 인물이 아니라는 의견이다.

동국대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는 "김일성 주석을 오랫동안 연구한 저로서는 논란거리가 될 가치가 없다고 본다"며 "가면 속 얼굴은 김일성 주석의 모습과 전혀 다르다"고 말했다.

북한에서 신성시하는 김일성의 초상화를 응원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앞서 지난 2003년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당시 북한 응원단은 김정일 위원장의 사진이 담긴 현수막이 비를 맞고 있자, "장군님 사진이 비를 맞는다"며 이동하던 버스에서 내려 현수막을 옮긴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