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정상회담: 북한 '김영철' 제외... '외교력 강화 차원에서 외무성 인사 동행이 바람직'

(캡션) 블라디보스토크 도착한 김정은 위원장

사진 출처, Lee Jae Myung

사진 설명,

블라디보스토크 도착한 김정은 위원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4일 오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하며 북러 정상회담 일정을 시작했다.

이번 러시아 방문길에는 김평해-오수용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리영길 북한군 총참모장 등이 동행 중이다.

반면 지금까지 북미, 북중 정상회담 등 김정은 위원장의 정상외교를 보좌해온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은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24일 새벽 환송식 사진에서도 김영철 부위원장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위원장의 외국 방문 수행원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출처, 로동신문

사진 설명,

김영철 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은 처음으로 김 위원장의 외국 방문길에 동행하지 않았다

'책임 물은 것' vs '데려갈 이유 없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북한이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대미 협상과 정책을 재검토하면서 조직을 재정비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정은 위원장의 방러에 동행한 리용호 외무상,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모두 외무성 인사인 만큼 향후 외교와 핵 협상 전반을 외무성이 주관하는 게 아니냐는 추정도 나온다.

하노이 회담 결렬의 충격과 그에 대한 책임을 김영철 부위원장이 수장으로 있는 통일전선부에 물은 것이라는 해석이다.

더불어 대미 핵 협상에 깊이 개입했던 김성혜 통일책략실장과 김혁철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에 대한 경질설도 나돈다. 두 사람 모두 통일전선부 소속이다.

사진 출처, 뉴스1

사진 설명,

김영철 부위원장(왼쪽)이 수행하는 게 오히려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한국 전문가들은 이번 김 위원장의 방러는 큰 틀에서 북러 관계, 외교적 카드를 활용하기 위한 자리로 외교 라인이 동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협상 사령탑인 김영철 부위원장이 수행하는 게 오히려 어울리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김동엽 교수는 "러시아에 김영철 부위원장을 데려갈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영철 부위원장이 가면 오히려 상황이 꼬여요. 러시아에 핵 협상하러 간 게 아니에요. 그럴 이유가 없는 거죠. 북-러 정상회담은 작년부터 준비가 되어 있었어요. 좀 더 큰 틀에서 북-러 관계, 외교적 카드 쪽으로 보면 외교라인이 가는 게 맞아요. 대남라인이나 북핵 협상 라인이 가서 잘 될 게 없다는 말이에요."

사진 설명,

김 위원장은 24일 저녁 루스키 섬 극동연방대학에 도착했다

북한군 총참모장 수행이 이례적

김동엽 교수는 오히려 리영길 북한군 총참모장이 수행원 명단에 오른 게 특이한 점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모스크바 안보회의에 참석한 노광철 인민무력상의 부재로 이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샌드연구소 최경희 대표 역시 북한이 대외관계에 주력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대외정책이나 대외관계에서 맞추는 거 아닌가요? 그래서 외무성에서 간 거죠. 노동력, 유류 지원, 국제사회의 지지도, 이런 부분에 대해 논의할 사람들을 데려간 것 같아요."

사진 출처, Lee Jae Myung

사진 설명,

러시아 의장대 사열받는 김 위원장

앞서 통일연구원 박영자 연구위원은 BBC 코리아에 이번 북러 정상회담은 북한의 외교력 강화 차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외교를 강화했잖아요. 전체 체계나 인물 등을 강화했는데 국제정치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상당히 커요. 북한을 보호하고 이롭게 하는데 러시아가 외교력을 많이 갖고 있는 거죠."

한편, 김정은 위원장의 이번 러시아 방문길에는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과 현송월도 동행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