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정상회담: 중국 '러시아가 중국을 대신할 수 없을 것이다'

사진 출처, 뉴스1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주석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러 정상회담이 열린 가운데 중국 정부는 이번 북-러 회담으로 해가 될 게 없다고 판단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오히려 북-러 회담으로 북핵 문제에 대한 돌파구가 마련된다면 중국이 이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는 분석이다.
특히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러시아가 북한을 놓고 중국과 영향력 경쟁을 벌인다고 보기는 어렵다. 중국의 대북 영향력이 여전히 절대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동대학교 박원곤 교수는 "현재 북한 입장에서는 러시아가 중국을 대신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아주 적극적으로 지지하지는 않겠지만 특별하게 북-러 회담이 중국의 이해를 해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을 거예요. 어쨌든 북한 핵 문제는 중국에게도 어떻게든 해결해야 되는 문제이고 특히 지금 미국이 제재와 더불어 계속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북러가 만나서 이야기가 잘 된다면 중국도 나쁠 게 없는 거죠."
박원곤 교수는 다만 북한이 경제, 외교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다변화의 필요성은 충분히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김정은 위원장의 경제협력 요청이 있더라도 러시아가 직접 해줄 수 있는 게 많지 않다는 현실적인 한계도 지적됐다.
이 때문에 북러 정상회담이 현재 판국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변수가 되지 못할 거라는 해석이다.
더불어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에도 북한이 군사적 도발이 아닌, 외교적 돌파구를 찾고 있는 점 역시 중국을 안심시키고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사진 출처, AFP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세종연구소 이성현 중국연구센터장의 설명이다.
"중국은 별로 걱정하지 않아요. 오히려 나쁠 게 없다고 보는 이유가 러시아가 같은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미-북 정상회담처럼 미국이 북한을 꼬드겨서 중국에 불리한 정치적 입장, 변화를 추구할까 걱정을 했잖아요. 하지만 북러가 만나면 일단 그런 우려는 없고 동시에 러시아의 경제적 맷집이 중국과 비교가 안 되기 때문에 걱정하지도 않고요."
이성현 센터장은 아울러 푸틴 대통령이 북러 정상회담에 이어 중국과 일대일로 정상포럼에 참여하는 만큼 "김 위원장과의 대화 내용이 시진핑 주석에게 곧바로 전달될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이럴 경우 과거 냉전시대의 북중러 삼총사가 다시 모이는 모양새가 갖춰지는 만큼, 오히려 미국의 심기가 편치 않을 것이라고 이성현 센터장은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박원곤 교수는 러시아의 이번 북러 회담의 큰 목적은 대미 메시지라며, 대북 영향력을 과시함으로써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덧붙였다.